로딩, 오류, 빈 화면 UI/UX 패턴

로딩, 오류, 빈 화면 UI/UX 패턴

Tags
UI/UX
Published
January 7, 2025
Author
Seongbin Kim
1. 로딩, 오류, 빈 화면의 필요성1-1. 적절한 로딩 화면의 필요성로딩 시간의 비용은 이탈률로딩 화면의 효과 - 인지되는 로딩 시간 감소로딩 화면의 효과 - 즉시 응답 제공로딩 화면의 효과 - 잘 처리되고 있음을 응답1-2. 적절한 오류 화면의 필요성오류 화면의 필요성 - 좌절감, 대립감 해소오류 화면의 필요성 -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게 안내 제공1-3. 적절한 빈 화면의 필요성빈 화면의 효과 - 조회 결과가 빈 것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전달2. 로딩 패턴2-1. 로딩 UX 패턴레퍼런스즉각적인 로딩 표시미리 결정되어 있는 로딩 소요 시간로딩 소요 시간 별 적정 로딩 UI먼저 로딩된 내용을 먼저 표시 (Incremental Loading)로딩 스피너의 레이아웃 시프트 최소화로딩 대상의 명확화로딩 중 컨트롤(버튼) 비활성화빈 화면보다 스켈레톤 우선작업이 길어지는 경우 백그라운드로 실행로딩 화면에 흥미로운 인터렉션 표시 혹은 정보를 제공2-2. 로딩 UI 사례 수집전역 로딩 바: 페이지 상단컴포넌트 단위 로딩 스피너컴포넌트 단위 스켈레톤로컬 스피너로딩 중 버튼 비활성화남은 시간 표시 + 백그라운드n단계 + 단계 별 작업 내용n단계 + 진행률에 비례한 로딩바저화질 샘플 (low quality image placeholder)3. 오류 패턴 (TBD)3-1. 오류 UX 패턴3-2. 오류 UI 패턴4. 빈 화면 패턴 (TBD)4-1. 빈 화면 UX 패턴4-2. 빈 화면 UI 패턴
 
로딩, 오류, 빈 상태일 때 어떤 화면을 제공해야 할까요?
  • 모든 상황에 적절한 공통 로딩, 오류, 빈 화면은 없습니다.
  • 항상 빈 화면, 스피너, 특정 문구를 보여주는 화면이 항상 적절할 수는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상태를 표현하는 화면의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현재 기능에 대해 적절한 화면은 무엇일지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고민하고 조사해서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1. 로딩, 오류, 빈 화면의 필요성

 
로딩, 오류, 빈 상태는 데이터를 다루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각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들은 데이터가 정상 상태일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식적인 응답입니다.
 
사용자가 불쾌한 상태일 때 받는 응답이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정상 상태보다 낮다고 해서 대충 만들 게 아니라 섬세하게 만들어 전달해야 합니다.
 

1-1. 적절한 로딩 화면의 필요성

 

로딩 시간의 비용은 이탈률

  • 로딩 시간에는 이탈률이라는 비용이 있는데요, 이는 데이터로 검증이 된 사실입니다:
    • (요약) 로딩 시간 증가 시의 비용:
      • 1 → 3초: 이탈률 32% 증가
      • 1 → 5초: 이탈률 90% 증가
  • 또한 평균적인 로딩 속도는 매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로딩 시간의 상한선은 점점 낮아질 것입니다.
 

로딩 화면의 효과 - 인지되는 로딩 시간 감소

  • 로딩 화면은 인지되는 로딩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즉, 로딩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만들기 때문에 이탈률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다소 오래된 연구(2004)이지만, 로딩 바가 사용자로 하여금 더 기다릴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 로딩 바가 있는 경우, 로딩 바를 본 참가자 그룹의 중간 대기 시간은 22.6초,
    • 로딩 바를 전혀 볼 수 없는 참가자 그룹의 중간 대기 시간은 9초
 

로딩 화면의 효과 - 즉시 응답 제공

  • 로딩 화면도 응답의 한 종류입니다.
  • 로딩 상태는 응답을 대기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응답을 즉시 제공할 수 없는데요, 이를 대신해 응답을 즉시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로딩 화면의 효과 - 잘 처리되고 있음을 응답

  • 로딩 화면은 사용자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으며 처리되고 있음을 전달합니다.
  • 만약 로딩 화면이 없어 텅 빈 페이지를 보게 된다면 사용자는 이를 오류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 사용자는 즉각적인 응답을 원하기 때문에, 로딩 화면의 즉시성은 로딩이라는 불쾌한 상황에서의 적절한 차선책입니다.
 

1-2. 적절한 오류 화면의 필요성

 
오류 화면에서의 이탈률에 대한 데이터는 공개된 정보를 찾진 못했습니다.
  • GA, Chrome 같은 데이터 수집 측에서 임의의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오류 페이지인지 아닌지를 정확히 결정할 수 없을테니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오류 화면의 필요성 - 좌절감, 대립감 해소

  • 오류는 사용자의 행동의 결과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노력이 좌절된 상황일 확률이 높습니다.
  • 그래서 어떤 오류는 굉장히 불쾌할 수 있고, 잘 처리하지 못한다면 서비스가 사용자를 막아선다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 충성 사용자일수록 서비스의 사용 빈도가 높고, 오류 화면을 만날 확률은 그에 비례하기 때문에, 오류 페이지의 이탈에는 충성 사용자의 비율이 비교적 높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 화면의 필요성 -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게 안내 제공

  • 오류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사용자에게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쉽고 명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 적절한 안내가 중요합니다.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해 서비스가 사용자를 막아선다는 인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응답이 없거나 stacktrace를 그대로 노출하는 경우 사용자의 불쾌감이 줄어들 수 없습니다.
 

1-3. 적절한 빈 화면의 필요성

 
여기서 말하는 빈 화면은 조회 결과가 비었을 때를 의미합니다.
 

빈 화면의 효과 - 조회 결과가 빈 것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전달

  • 조회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지만, 표시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빈 영역만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 때 애플리케이션은 “정상 조회 결과, 데이터가 없습니다”라는 의도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2. 로딩 패턴

 
여기에 소개된 내용은 데이터로 명확히 증명된 내용들은 아니며, 레퍼런스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동의되는 주장들이 있다면 채택해볼만한 것 같습니다 🙂
 

2-1. 로딩 UX 패턴

 

레퍼런스

 

즉각적인 로딩 표시

  • 요청을 받은 직후에는 항상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로딩 소요 시간

  • 사용자는 명확한 로딩 소요 시간을 알면 더 오래 기다릴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시간 추정치는 사용자가 스스로 기대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해 대기 시간 동안의 불쾌함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로딩 소요 시간 별 적정 로딩 UI

  • 0.1 ~ 1초:
    • 표시하지 않음.
    • 사용자가 로딩 UI를 인식하기 어려움
  • 1 ~ 2초:
    • 로딩 스피너
    • 스켈레톤
  • 2 ~ 10초:
    • 실제 남은 시간 표시, 남은 시간에 비례한 로딩 바 표시
    • 실제 남은 시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임의의 로딩 단계 표시
  • 10초 이상:
    • 백그라운드 실행 옵션 제공
    • 남은 시간을 알 수 있는 경우
      • 남은 시간 표시
 

먼저 로딩된 내용을 먼저 표시 (Incremental Loading)

  • 데이터를 최대한 일찍 표시하기 위해 먼저 로딩된 데이터를 먼저 표시해 더 일찍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 단, 동시에 스피너가 과도하게 표시되면 좋지 않습니다.
    • 각 작은 단위들마다 스피너를 띄워 한 화면에 스피너가 3-5개씩 보이는 것보다는, 인접한 로딩 영역은 하나로 통합해 더 적은 개수의 스피너를 띄우는 것을 지향합니다.
 

로딩 스피너의 레이아웃 시프트 최소화

  • 로딩 대상 영역 내에 스피너가 위치해야 로딩 완료 시 레이아웃 시프트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로딩 대상의 명확화

  • 특정 인터페이스 내에 로딩 UI를 통합하면 무슨 작업에 대한 로딩인지 명확해집니다.
    • (ex) 유튜브 오프라인 다운로드 버튼
 

로딩 중 컨트롤(버튼) 비활성화

  • 행동에 따른 로딩 발생 시, 제대로 실행 중인지 혼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 컨트롤을 비활성화하여 요청이 접수됐음을 명확히 표현합니다.
 

빈 화면보다 스켈레톤 우선

  • 스켈레톤으로 인지적인 로딩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스켈레톤은 빈 화면보다 더 부드럽게 실제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0 → 1 (빈 화면)
    • 0 → 0.5 → 1 (스켈레톤)
 

작업이 길어지는 경우 백그라운드로 실행

  • 파일 업로드 등의 작업의 경우 전체 화면을 블로킹하지 않고 백그라운드 UI로 표현합니다.
 

로딩 화면에 흥미로운 인터렉션 표시 혹은 정보를 제공

  • 브랜드/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한 인터렉션을 표시합니다.
 

2-2. 로딩 UI 사례 수집

 

전역 로딩 바: 페이지 상단

유튜브 상단 - 메인 → 영상 상세 페이지 이동 시
notion image
 

컴포넌트 단위 로딩 스피너

(1) 영상 버퍼링 시 플레이어 중앙에 스피너 표시
(2) 섬네일 이미지 로딩 시 슬라이더 중앙에 스피너 표시
notion image
 
notion image
 

컴포넌트 단위 스켈레톤

(1) 목록 조회 UI
(2) 개별 조회 UI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로컬 스피너

(1) 일부 영역만 별도 로딩 (조회 - incremental load)
(2) 일부 영역을 로딩 (조회 - lazy load)
(3) 무한 스크롤 목록 로딩 (조회 - lazy load)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로딩 중 버튼 비활성화

notion image
 

남은 시간 표시 + 백그라운드

전체 페이지가 아닌 우측 하단에 간략히 표시 (구글 드라이브 파일 업로드)
notion image
 

n단계 + 단계 별 작업 내용

완료 시각을 예측할 수 없는 작업인 경우 (Vercel의 빌드 화면)
notion image
 

n단계 + 진행률에 비례한 로딩바

완료 시각을 예측할 수 있는 작업인 경우 (파일 다운로드 n개)
notion image
 

저화질 샘플 (low quality image placeholder)

(1) Unsplash에서 섬네일 이미지의 저화질 샘플을 표시
(2) behance에서 섬네일 이미지의 대표 색상을 표시
notion image
notion image
 

3. 오류 패턴 (TBD)

 

3-1. 오류 UX 패턴

 

3-2. 오류 UI 패턴

 
 
 

4. 빈 화면 패턴 (TBD)

 

4-1. 빈 화면 UX 패턴

 

4-2. 빈 화면 UI 패턴